728x90
반응형
개설되지 않은 예정도로에 접한 대지에 건축허가 가능 여부
ㅣ 법령해석 · 질의회신 ㅣ
prologue
건축허가 시 지정·공고한 도로가 아직 개설되지 않은 경우, 해당 도로에 접한 타 대지에 건축허가가 가능한지 질의회신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질의 내용
▶ 건축물 사용승인 전으로서 건축허가 시 지정·공고한 도로가 아직 개설되지 않은 경우, 해당 도로에 접한 타 대지에 건축허가가 가능한지 여부
*기존 건축허가가 취소될 경우 타 대지가 도로에 접하지 않게 되는 점 감안, 건축허가와 복합민원으로 개발행위허가를 받아 개설하는 도로의 경우, 공사가 어느 정도 진행되어 보행과 자동차 통행이 가능한 것만을 의미하는지 여부
(건축정책과-374, 2019.1.18.)(경상남도)
회신 내용
▶ 『건축법』 제2조 제1항 제11호에 따르면 “도로”는 보행과 자동차 통행이 가능한 너비 4미터 이상의 도로로서 관계법령에 따라 신설·변경 고시가 된 도로 및 건축허가·신고 시 지정공고된 도로나 예정도로를 말하는 것임.
▶ 해당 조항에서 “보행과 자동차 통행이 가능”이라 함은 일정 이상의 너비를 갖추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예정도로를 포함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바 고시 또는 공고된 후 아직 개설공사 등을 하지 않은 경우라도 『건축법』상의 도로로 보아야 하는 것임. 그리고 건축허가 시 『건축법』 제2조 제1항 제11호 나목에 따라 도로를 지정·공고하고 도로개설을 위한 개발행위허가를 의제처리한 경우 건축허가가 취소되면 의제처리된 개발행위허가는 취소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도로의 지정공고로 건축허가와는 별개의 절차로서 건축허가 취소 시 자동으로 취소되는 것이 아니며 또한 해당 도로를 폐지하려는 경우 『건축법』 제45조 제2항에 따라 이해관계인의 동의를 받아야 함.
출처(참조 및 인용 사이트)목록
건축사협회 홈페이지 _ 건축실무 질의회신 자료
728x90
반응형
'건축실무. > 법령해석. 질의회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사진 대지에 건축하는 테라스형 건축물의 건폐율 완화 가능 여부 (0) | 2024.11.27 |
---|---|
만화방 안에서 오락목적을 위해 구획된 방이 거실에 해당하는지 여부 (0) | 2024.11.25 |
대지조성용이 아닌 옹벽 등에 대하여 건축법령이 적용되는지 여부 (0) | 2024.11.21 |
「건축법 시행령」 제118조제1항제11호에 따른 축조신고 대상인 공작물의 범위 (1) | 2024.11.18 |
21층 이상 10만㎡ 이상인 기존 건축물의연면적 3/10 미만 증축 시 특별·광역시장 허가인지 여부 (1) | 2024.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