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구입부담지수 등 부동산 지수에 대해서 알아보자
ㅣ 부동산 ㅣ
prologue
주택구입부담지수,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매수우위지수, 실거래가격지수, 부동산 소비심리지수, 주택구매력지수 수 등 각종 부동산 관련지수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택구입부담지수
▣ 중위소득가구가 표준대출로 중간가격 주택구입 시 대출상환부담을 나타내는 지수
- 중위소득가구가 표준대출로 중간가격 주택 구입 시 대출상환부담을 나타내는지수
- 대출을 받아 중간가격의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 상환 부담을 나타내는 지수
- K-HAI가 낮을수록 주택구입부담이 완화, 높을수록 주택구입부담이 가중
※ 지수 수치의 의미 : 서울 K-HAI 90.1은 서울의 중간소득 가구가 서울지역의 중간가격의 주택을 구입할 경우 적정부담액 (소득의 약25%)의 90.1%를 주택구입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으로 부담한다는 것으로 지수의 수치가 높을수록 주택구입 부담이 커지는 것을 의미
매매가격전망지수
▣ KB부동산에서 제공하고 있는 데이터로 향후 3개월 아파트 매매가격에 대한 전망을 표현한 지수로 매매가격 전망지수가 0보다 크면 지금보다 3개월 후 아파트 매매 가격에 대해 상승을 기대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매수우위지수
▣ 주택시장에서 집을 사려는 사람과 팔려는 사람의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 매수우위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집을 사려는 매수자가 매도자보다 많을수록 높아지며 지수가 100이상이면 매수자가 더 많고, 100이하이면 매도자가 우위라는 의미입니다. 즉, 매수자가 많다라는 것은 공급에 비해 수요가 많다는 것으로 집 값이 상승할 요인이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실거래가격지수
▣ 주택을 포함한 모든 부동산을 매매하는 경우에는 계약일 기준으로 30일 이내에 실거래 신고를 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또한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주택은 임대차 계약 시 임대차 신고를 해야합니다. 공종주택 실거래 가격지수는 실거래 신고가 이루어진 전국의 모든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가격 및 변동률을 조사하여 나타는 변동지수 입니다.
부동산 소비심리지수
▣ 경제용어인 소비자심리지수는 한국은행에서 발표하는 소비자동향조사를 바탕으로 산출하고 있습니다.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일반가구와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0에서부터 200까지의 값으로 표현되며 100을 기준으로 지수가 100이상이면 전월대비 가격상승 및 거래증가에 대한 응답다가 많다는 의미입니다.
주택구매력지수
▣ 주택구매력 지수란 주택 담보대출의 원리금 상환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중위 소득을 가진 가구가 대출을 받아 지역별 중간 가격 수준의 주택을 구입할 경우 원리금 상환 금액을 부담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주택구매력지수도 100을 기준으로 하며 주택구매력 지수가 높다는 것은 중위 소득 가구가 큰 무리 없이 주택을 구입할 수 있다는 뜻으로 수요가 높아 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IR이란? 지역별 주택의 평균 가격을 해당 지역 가구의 평균 연 소득으로 나눈 값으로 연 소득을 쓰지 않고 매년 모은다면 주택을 구매하기 위해 몇년이 걸리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PIR이 높으면 고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고 PIR이 낮으면 저평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건축실무.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양권전매란 무엇인가? 분양권전매에 대해서 알아보자 !! (13) | 2024.10.16 |
---|---|
경매와 공매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3) | 2024.09.03 |
지상물매수청구를 할 수 있을까요? (1) | 2024.07.25 |
전입신고 날 근저당이 설정된다면 ? (1) | 2024.07.07 |
매매 시, 전세보증보험과 같은 보험이 있다!? (1) | 2024.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