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실무./부동산.

주택구입부담지수 등 부동산 지수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VILLAINs-papa 2025. 1. 16.
728x90
반응형

 

주택구입부담지수 등 부동산 지수에 대해서 알아보자

ㅣ 부동산 ㅣ

 

 

 

prologue

주택구입부담지수,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매수우위지수, 실거래가격지수, 부동산 소비심리지수, 주택구매력지수 수 등 각종 부동산 관련지수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택구입부담지수 등 부동산 지수에 대해서 알아보자

 주택구입부담지수

▣ 중위소득가구가 표준대출로 중간가격 주택구입 시 대출상환부담을 나타내는 지수

  • 중위소득가구가 표준대출로 중간가격 주택 구입 시 대출상환부담을 나타내는지수
  • 대출을 받아 중간가격의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 상환 부담을 나타내는 지수
  • K-HAI가 낮을수록 주택구입부담이 완화, 높을수록 주택구입부담이 가중

※ 지수 수치의 의미 : 서울 K-HAI 90.1은 서울의 중간소득 가구가 서울지역의 중간가격의 주택을 구입할 경우 적정부담액 (소득의 약25%)의 90.1%를 주택구입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으로 부담한다는 것으로 지수의 수치가 높을수록 주택구입 부담이 커지는 것을 의미

 

 매매가격전망지수

▣ KB부동산에서 제공하고 있는 데이터로 향후 3개월 아파트 매매가격에 대한 전망을 표현한 지수로 매매가격 전망지수가 0보다 크면 지금보다 3개월 후 아파트 매매 가격에 대해 상승을 기대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매수우위지수

▣ 주택시장에서 집을 사려는 사람과 팔려는 사람의 비율을 나타낸 것으로 매수우위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집을 사려는 매수자가 매도자보다 많을수록 높아지며 지수가 100이상이면 매수자가 더 많고, 100이하이면 매도자가 우위라는 의미입니다. 즉, 매수자가 많다라는 것은 공급에 비해 수요가 많다는 것으로 집 값이 상승할 요인이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실거래가격지수

▣ 주택을 포함한 모든 부동산을 매매하는 경우에는 계약일 기준으로 30일 이내에 실거래 신고를 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또한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주택은 임대차 계약 시 임대차 신고를 해야합니다. 공종주택 실거래 가격지수는 실거래 신고가 이루어진 전국의 모든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가격 및 변동률을 조사하여 나타는 변동지수 입니다. 

 

 부동산 소비심리지수

경제용어인 소비자심리지수는 한국은행에서 발표하는 소비자동향조사를 바탕으로 산출하고 있습니다.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는 일반가구와 중개업소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0에서부터 200까지의 값으로 표현되며 100을 기준으로 지수가 100이상이면 전월대비 가격상승 및 거래증가에 대한 응답다가 많다는 의미입니다. 

 

 주택구매력지수

▣ 주택구매력 지수란 주택 담보대출의 원리금 상환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중위 소득을 가진 가구가 대출을 받아 지역별 중간 가격 수준의 주택을 구입할 경우 원리금 상환 금액을 부담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주택구매력지수도 100을 기준으로 하며 주택구매력 지수가 높다는 것은 중위 소득 가구가 큰 무리 없이 주택을 구입할 수 있다는 뜻으로 수요가 높아 졌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IR이란? 지역별 주택의 평균 가격을 해당 지역 가구의 평균 연 소득으로 나눈 값으로 연 소득을 쓰지 않고 매년 모은다면 주택을 구매하기 위해 몇년이 걸리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PIR이 높으면 고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고 PIR이 낮으면 저평가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