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안전관리계획서에 대해서 알아보자
l 소규모 안전관리계획서 수립대상 및 절차 l
안전관리계획의 수립대상이 아닌 건설공사 중 건설사고 발생 위험이 있는 공종이 포함된 경우 해당 공사의 착공 전 시공과정 및 절차 등의 안전관리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는 검토하게 하는 제도로 소규모 공사에 적용하고 있다. 오늘은 "소규모 안전관리계획서" 수립대상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해당법령
- 건설기술진흥법 제62조의2 (소규모 건설공사의 안전관리)
-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101조의5 (소규모 건설공사 안전관리계획의 수립 등)
- 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101조의6 (소규모안전관리계획의 수립기준)
- 건설기술진흥법 시행규칙 제59조의2 (소규모안전관리계획의 수립기준)
소규모 안전관리계획서 대상 건설공사(건설기술진흥법 시행령 제101조의 5)
- 1)법 제62조의2제1항 전단에 따른 소규모안전관리계획(이하 “소규모안전관리계획”이라 한다)을 수립해야 하는 건설공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건축물의 건설공사로서 2층 이상 10층 미만인 건축물의 건설공사로 한다.
1. 연면적 1,000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제2호의 공동주택
2. 연면적 1,000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제3호 및 제4호의 제1종 근린생활 시설 및 제2종 근린생활시설
3. 연면적 1,000제곱미터 이상(「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4호에 따른 산업단지에서 공장을 건축하는 경우에는
2,000제곱미터 이상으로 한다)인 「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제17호의 공장
4. 연면적 5,000제곱미터 이상인 「건축법 시행령」 별표 1 제8호가목의 창고
소규모 안전관리계획서 제출 절차
시공자 수립
▼
공사감독자 또는 건설사업관리기술인 확인
▼
발주청, 인허가기관에 제출
(착공신고 시)
▼
발주청, 인허가기관 승인
▼
착공
사용승인 시 접수도서 목록 !!
실무하면서 정리한 파일입니다.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villain-s.tistory.com
[건축.] - 현장소장 자격기준 : 현장대리인, 현장관리인
현장소장 자격기준 : 현장대리인, 현장관리인
건축물의 설계 및 허가 후 건축물의 공사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해당 관청에 착공신고라는 절차로 건축물의 착공에 대한 서류 등을 가지고 신고하여야 한다. 이때 공사를 관리, 감독하고 지휘하
villain-s.tistory.com
[건축.] - 건축주직영 & 종합건설업면허 건축공사 대상
건축주직영 & 종합건설업면허 건축공사 대상
"종합건설업면허대상 공사 ? 건축주직영 건축공사 대상 공사 ?" 건축물의 공사를 위해 건축주는 시공사를 선정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시공사 선정에서의 주관적인 관점을 떠나 현행법에서는 공
villain-s.tistory.com
비산먼지 발생사업 신고대상
"건설공사 착공신고 시 비산먼지 발생사업장 신고 의무" 1.비산먼지란 무엇인가? 일정한 배출구 없이 대기 중에 직접 배출되는 먼지를 총칭하며 건설업이나 시멘트, 석탄, 토사 등의 업종에서 많
villain-s.tistory.com
'건축실무. > 건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도변경 시 소방설비(제연설비)를 제외할 수 있는 기준 (2) | 2024.03.03 |
---|---|
불법건축물 정의와 이행강제금 산정기준 (0) | 2024.03.02 |
건축인허가 시 소방동의 대상 건축물 범위 : 소방동의대상 (0) | 2024.02.28 |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의 의미를 알아보자 (1) | 2024.02.27 |
기술지도 계약서 제출 및 제외 대상 : 건축공사 (0) | 2024.02.27 |